질병과 건강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당뇨병

건강한 신체 만들기 2024. 1. 1. 15:50
728x90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 비만 등에 의해 당뇨에 걸리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이전에는 당뇨가 중장년층 이상에서 주로 나타났다면 최근에는 젊은 연령대에서도 흔히 관찰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당뇨의 경우 식단 조절이나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혈당을 개선하지 않거나 약 복용을 통해 혈당을 관리해주지 않는다면 다양한 합병증에 생명까지 위험해질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당뇨병이란?

당뇨병이란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소변을 통해 포도당이 배출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경우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에 의해 혈당 조절이 이루어져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지 않지만 인슐린이 모자라거나 그 기능을 상실한 경우 혈당 수치는 상승하게 되고 높은 혈당 수치가 지속되는 것은 물론, 소변을 통해 포도당이 배출되는 당뇨병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당뇨병은 그 원인에 따라 제 1형 당뇨병, 제 2형 당뇨병, 임신당뇨병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은 혈당 검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으며 식사와 관계없이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이거나, 8시간 동안 공복 상태를 유지한 뒤 혈당을 측정하는 공복혈당수치가 126mg/dL 이상인 경우, 그리고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75mg의 포도당을 섭취한 뒤 측정한 2시간째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 등의 세 가지 조건 중 한 가지를 충족하는 경우 당뇨병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당뇨병의 종류

제 1형 당뇨병 : 신체가 선천적으로 인슐린을 생산하지 않아 발생하는 당뇨병으로써 정기적인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합니다. 제 1형 당뇨병은 케톤산증, 신경 손상, 눈이나 신장 질환, 심혈관 질환, 족부 질환 등의 합병증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제 2형 당뇨병 : 신체가 인슐린을 생성하거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 떨어질 때 발생하는 당뇨병으로써 비만과 강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운동과 식이요법의 변화와 함께 약물치료가 필요하며 특히 45세 이상이거나 과체중, 가족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당뇨병에 더욱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임신당뇨병 : 임신 중 발생하는 당뇨병으로써 원래 당뇨병이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처음으로 당뇨병이 발견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임신당뇨병은 임신 동안 발생하는 호르몬의 변화와 생리학적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당뇨병에 의한 신체적 변화

당뇨병은 흔히 삼다의 질병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는 당뇨병에 걸리는 경우 많은 물을 섭취하게 되고, 소변 양이 많아지며 음식물을 많이 섭취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포도당이 소변을 통해 체외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포도당을 포함한 영양분들이 빠져나가기에 피로감을 쉽게 느끼게 되고 섭취하는 음식의 양이 많아지게 됩니다. 또한 포도당 배출시 수분도 함께 빠져나가기에 소변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체내 수분량의 감소를 불러와 갈증을 자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당뇨병은 눈의 침침함, 손발의 저림 등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