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영유아기 뇌전증에 대해
- 영유아시기의 뇌전증은 어린 나이에 시작해서 사춘기쯤 되면 없어지는 유형의 뇌전증이 대부분입니다.
- 약을 조금만 먹어도 잘 듣고 어느 시점이 되면 사라지는 유형입니다.
- 노벨, 알렉산더, 고흐 등 역사적으로 뇌전증을 앓았던 위인들도 많기에 아이의 성장에 대한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 항경련제(경련을 가라앉히는 약)가 독해서 지능에 영향을 준다는 소문도 있는데 이는 철저하게 잘못된 정보입니다.
- 영유아기 뇌전증 환자들에게는 아무리 많아도 세 가지 이상의 약을 쓰지 않습니다. 70%의 환자는 그 약 내에서 해결이 되고, 지능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습니다. 설사 세 가지 이상의 약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뇌전증 환자에게 쓰이는 약은 이미 철저한 임상과정을 통해 검증을 마쳤기에 임산부가 먹어도 될 만큼 인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뇌전증은 그 원인과 임상적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병의 경과 및 치료 결과를 정확하게 규명하기는 어렵습니다.
-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은 영유아기 뇌전증 환자의 상당수는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그 증상의 발생 빈도가 줄어들고, 약 70%에서는 항뇌전증약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증상의 완화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 일반적으로 뇌전증환자의 30~40%는 소량의 단독약물요법으로 쉽게 뇌전증 발작을 조절할 수 있고, 약물치료 이후 장기간 발작이 없는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중단해도 재발이 없는 완치 상태가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어린이뇌전증에 도움이 되는 케톤식이란?
- 약물로 조절이 잘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소아에게 시도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의 하나로 케톤 생성 식사요법(이하 케톤식)이 있습니다.
- 케톤식은 식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탄수화물을 줄이고, 지방을 늘리는 방법입니다.
- 일반식사는 음식을 먹으면 뇌가 에너지원으로 탄수화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케톤식은 탄수화물을 극도로 제한하기 때문에 뇌가 사용할 탄수화물이 부족해지게 됩니다. 이때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대사산물로 케톤체가 생기고, 지방이 많은 케톤식을 계속 유지하면 케톤체 만드는 상태를 지속할 수 있습니다. 결국, 뇌가 케톤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아이의 항경련 효과와 인지기능 향상을 기대한다는 치료법입니다.
- 식사에서 탄수화물을 줄여야 하므로 밥, 국수, 빵, 떡, 과자 등은 먹지 말고, 반면에 지방을 늘려야 하므로 견과류와 올리브유, 휘핑크림, 버터 등을 많이 먹게 합니다.
- 하지만 설탕, 꿀, 올리고당, 아이스크림, 케이크, 탄산음료 등 단맛이 나는 식품들은 먹지 말아야 하므로 아이가 케톤식 유지를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세계 여러 병원에서 케톤 생성 식이를 시행한 환자들 중 약 20-30%에서 경련발작이 90% 이상 억제되는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나이가 어릴수록 더 뛰어난 효과를 보였습니다.
- 대략 2년 정도 식이를 유지하게 되고 식이 요법으로 경련 발작이 조절된 경우 식이를 중단하더라도 경련발작이 재발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 케톤식을 통해 경련발작이 잘 조절되는 경우 함께 투여되는 항경련제를 줄일 수도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경련발작으로 파괴된 뇌 신경세포의 재생력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 하지만 불균형 식이를 지속하기 때문에 식욕 감퇴, 구토, 변비, 설사, 신장 결석, 성장장애, 골밀도 저하 등 여러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반드시 각종 비타민과 칼슘 등 무기질을 보충 섭취해야 하고 식사를 보호자가 직접 만들어야 하므로 철저한 교육 및 의지가 필요하는 등 어려움이 적지 않습니다.
- 케톤식에서는 당분의 제한이 가장 중요하므로 쥬스, 과일 등 당분이 많은 식품과 약물, 치약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제품에도 당분이 함유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제한해야 합니다.
3. 어린이뇌전증에 도움이 되는 생활 수칙
- 수면이 극도로 부족한 상태,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수면장애는 발작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 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 단순 감기를 치료할 때도 일부 약제가 경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에게 항상 뇌전증 치료 사실을 알려야 한다. 또 다른 치료와 관계없이 항경련제는 반드시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합니다.
- 항경련제는 혈액 속에서 일정한 농도로 유지되어야 효과가 가장 크다. 따라서 주치의의 처방대로 제시간에 약을 복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 대부분의 운동을 즐길 수 있지만, 운동 중 발작이 일어날 경우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 등산, 스키 등은 주의가 필요하며, 머리에 충격을 주는 운동은 피하도록 합니다.
728x90
'질병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치료제의 종류 (0) | 2023.04.30 |
---|---|
고혈압에 대해 (Hypertension) (0) | 2023.04.22 |
어린이 뇌전증에 대해 (0) | 2023.03.31 |
뇌전증 (0) | 2023.03.30 |
SGLT2 inhibitor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