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은 누구나 한 번쯤은 겪을 수 있는 질환으로써 패스트푸드, 고지방식, 커피, 탄산음료 등의 섭취와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 등에 의해 현대인들에게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활동량이 줄어들게 되어 역류성 식도염에 고통받는 사람들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식도 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위와 식도 사이에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 괄약근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게 됩니다.
□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위 내용물의 양적 증가입니다. 섭취하는 음식물의 양이 증가하거나 위액 분비 과다, 위 내용물 정체 등으로 위 내용물이 증가한 경우, 눕거나 구부리는 자세 등을 유지하는 경우 역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비만, 임신 등에 의해 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거나, 복대 착용 등으로 복압이 증가하면 역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와 식도 사이에 위치한 괄약근의 압력이 줄어드는 경우에도 역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의 증후
역류성 식도염이 나타나는 경우 식도 점막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손상들에 의해 가슴 통증, 기침 등이 나타나고 염증은 물론 출혈, 연하(삼킴) 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명치 끝에서 목구멍 쪽으로 치밀어 오르는 가슴쓰림을 느낄 수 있으며 위산 역류에 의해 시고 쓴 맛을 느낄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많은 음식을 섭취한 후 누운 자세에서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의 개선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생활 습관의 개선입니다.
∨ 과식이나 야식을 피하고식사 후 바로 눕지 않아야 합니다.
∨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는 기름진 음식이나 술, 담배, 홍차, 초콜릿 등을 피해야 합니다.
∨ 식도 점막을 직접 자극하는 신맛이 나는 주스나 탄산음료 등의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 체중을 줄여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춰야 합니다.
이러한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서 역류성 식도염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제산제나 위산분비 억제제, 장 운동 촉진제 등의 약물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이 자주 발생한다면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거나 궤양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기에 적극적으로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병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당뇨병 (0) | 2024.01.01 |
---|---|
독감 치료제 페라미플루의 효능, 감기와 독감의 차이점 (0) | 2024.01.01 |
겨울이면 심해지는 무릎통증, 관절염 (0) | 2023.12.31 |
독감 치료제 타미플루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3.12.29 |
겨울철 유행하는 독감의 종류와 격리, 예방법 (0) | 2023.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