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3uTWmr0DJDerSklnFN2vTSHzHjw-A5_yjmGRFnFToO8 대상포진 예방접종, 사백신과 생백신
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건강

대상포진 예방접종, 사백신과 생백신

by 건강한 신체 만들기 2024. 1. 3.
728x90

추운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과 건조한 대기 환경에 의해 면역력이 약해져 다양한 질환들에 고통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인층이나 중장년층은 감기나 독감과 같은 호흡기계 질환은 물론, 대상포진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상포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이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우리 신체 내부의 신경 주위에 잠복해 있다가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는 경우 신경을 타고 표출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러한 대상포진은 일반적으로 몸통이나 엉덩이 부위에서 많이 관찰되지만 신체 모든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극심한 통증과 함께 수포를 불러오게 됩니다. 

 

□ 대상포진의 징후

대상포진은 극심한 통증피부에서 발현되는 수포를 불러오게 됩니다. 통증은 1~3일 정도 아프거나 따끔거리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수포는2~3주 정도 지속된 후 수포가 사라지게 되면서 고름주머니인 농포나 딱지인 가피 등이 남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붉은 발진이나 발열, 두통 등을 불러올 수 있는 대상포진은 치료받지 않고 방치할 경우 삶의 질을 크게 떨어트릴 수 있습니다.

□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은 예방접종을 받을 경우 대상포진의 발병률을 최대 90%까지 예방할 수 있으며 대상포진에 걸리더라도 심각하지 않게 넘어가거나 신경통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률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예방 접종은 생백신과 사백신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생백신 (Zostavax) : 조스타박스,  약화된 형태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를 사용, 1회 복용을 통해 대상포진 발병 위험을 약 51%, 신경통 발병 위험을 67%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사백신 (Shingrix) : 싱그릭스,  바이러스의 구성 요소로 구성된 백신으로써 2회 접종해야 하며 첫 번째 접종 후 2~6개월 후 두 번째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사백신은 대상포진과 신경통의 발병 위험을 90% 이상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자

다음의 항목에 해당된다면 대상포진에 쉽게 노출될 수 있기에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50세 이상의 중장년층에 해당하는 경우

∨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  일상 속에서 지속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경우

∨  코로나 감염 등 감염 질환을 앓은 경험이 있는 경우

∨  대상포진 가족력이 있는 경우

∨  면역체계가 약화된 경우

 

728x90